기업 93%, ESG경영 유지‧확대···E→ S→G
글로벌 ESG 규제 다변화 대비 국내 대응 역량 강화 필요

참고자료. (픽사베이)
참고자료. (픽사베이)

국내 기업 90% 이상은 경기 악화에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9일까지 매출액 500대 기업 ESG 실무자를 대상(100곳 응답)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93.0%가 올해 ESG 경영 규모를 지난해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E(환경)·S(사회)·G(지배구조)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82.0%가 E를 들었다. S와 G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 배출량 감축이 47.0%로 가장 높았다. 신재생 에너지 전환(17.1%), 친환경 기술개발(17.1%), 대기·수질 오염관리(9.7%), 순환 경제 활성화(9.1%)가 뒤따랐다.

(전경련)
(전경련)

기업들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과 구체적 감축목표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약 절반(48.0%)은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했고, 58.0%는 구체적인 탄소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안전·보건 관리 등 산업재해(31.1%)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를 꼽았다. 인권 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등이 뒤를 이었다.

거버넌스 주요 이슈로는 ▲준법·윤리경영 시스템 강화(38.5%) ▲ESG 정보공시·평가 대응 28.0% ▲ESG위원회 운영 실효성 확보(16.8%)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확보(16.1%) ▲기타(0.6%) 순이다.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거나 시행할 계획이 있었다. 시행 27.0%, 시행 예정 29.0%다.

주요 공급망 ESG 관리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50.0%), ‘탄소 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9.2%)를 선택했다.

(전경련)
(전경련)

전경련은 “올해부터 독일에서 공급망 인권 실사가 의무 적용되고, 글로벌 주요국이 공급망 ESG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돼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은 ESG 경영 수행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고도화’(35.4%)를 선택했다. ‘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 ‘ESG 평가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등도 들었다.

이에 대한 정부·국회 등에서 추진해야 할 ESG 지원정책으로는 ‘글로벌 ESG 규제 대응 역량 강화’(30.3%), ‘ESG 전문인력 육성’(27.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3%),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8%)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ESG 평가 대응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평가업체마다 다른 평가 결과로 예측 가능성 저하(56.0%)를 꼽았다. 평가 요소 비공개로 인한 평가 대비 어려움(21.0%), ESG 컨설팅 비용 부담(17.0%)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이는 평가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구체적인 평가 요소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평가 요소 공개를 통해 기업의 ESG 평가 대응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ESG 정보공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국내 공시제도 간소화·단일화(38.0%) ▲공시 전문인력 육성 지원(32.0%) ▲공시 대비 유예기간 부여(20.0%) 등을 바랐다. 

한편, 지난 12월 공개된 오픈형 인공지능(AI) 챗GPT는 올해 ESG 키워드를 묻는 말에 ▲탈탄소 ▲순환경제 ▲기후복원력(기후변화대응) ▲사회정의(다양성·포용성) ▲투명성 등을 꼽으면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ESG 키워드를 제시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 8.76%포인트다.

류상우 기자 ryu@thereport.co.kr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