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창궐 영향으로 유럽과 북미 전역에서 생산되는 각종 부품들이 조달이 지연돼 완제폼 항공기 생산이 늦어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더리포트] 중국발 COVID-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군사력 운용 개념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다목적용 수송기 겸 공중 급유기를 비롯해 완제폼 항공기 생산이 지연되고 있다.

한국군사문제연구원은 10일 전 세계로 파급된 COVID-19의 유럽과 북미 방위산업에 미치는 영양에 대한 특집을 보도한 영국 ‘제인국방주간(Jane’s Defence Weekly)‘(3월 25일자)를 인용 이 같은 내용을 살폈다.

​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 따르면 유럽 스페인에 기반을 둔 Airbus, 이탈리아 조선업 중심의 Fincantieri, 이탈리아 항공산업 기반의 Leonardo, 프랑스의 미사일을 주력사업으로 하는 MBDA, 스페인 바잔 조선소 중심의 Navantia 등 다국적 국제방산업체들이 COVID-19 확산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

Airbus사는 유로파이터 타이푼(Typhoon), A300 다목적용 수송기 겸 공중 급유기, A400M과 C295 수송기 생산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시설 방역, 사회적 거리두기(socail distance)를 위한 작업장 개선, 개인 자기격리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헬기를 주로 생산하는 이탈리아 Leonardo사는 기존 작업 환경을 1미터 간격의 작업장 거리 두기로 변경하기 위해 새로운 작업시설을 만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행 헬기 조립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

Airbus사와 Leonardo사 모두 유럽과 북미 전역에서 생산되는 각종 부품들이 집합되어 조립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각 부품들이 COVID-19 영향을 받아 부품 조달이 늦어지고 있어 완제폼 항공기 생산이 늦어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탈리아 차세대 구축함과 스페인 프리깃함 건조를 담당하고 있는 이탈리아 Fincantieri사, 스페인 Navantia사는 대부분 열린 외부작업이라서 COVID-19 확산 우려가 낮지만, 대부분 소프트 웨어 작업이 실내 작업이라서 이들에 대한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들로 작업 진도가 늦어지고 있으며, 함정 건조는 건선거 일정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 6개월에서 1년 연장이 예상되고 있다.

유럽에서 미사일을 주로 생산하는 MBDA사는 영향을 덜 받으나, 작업장 환경 개선과 전문인력의 COVID-19 오염 차단을 위해 교대로 자기 격리를 하고 있어 최초 기본 일정보다 생산 기간이 늦어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군사문제연구원은 지난 3월 24일과 25일 자 ‘미해군연구소(USNI)의 뉴스레터를 인용, 해군 함정 건조를 담당하는 Huntington Ingalls Industries(HII)와 United Technologies Corperation(UTC)작업 진도를 가속화하여 기존 함정 건조납기를 맞추기로 협의하였다는 사실을 전했다.​

그러나 14일간 격리기간을 고려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과 방위산업체가 있는 도시 봉쇄(lockdown) 조치 등을 고려할 시 정상적 납기를 맞추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HII사의 경우 북미 지역에 약 5,000개의 중소업체들과 연관이 되어 있어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지난 4월 2일 자 『미해군연구소(USNI) 뉴스레터』는 북미의 다국적 방위산업에 대한 COVID-19의 영향은 미미하다며 향후 지상군 무기와 장비를 담당하는 General Dynamics사, Textron System사 및 Bell사, 공군용 항공기 생산을 주로 담당하는 Boeing사, CAE사, Embraer사, Lockheed Martin사, Raytheon사 그리고 해군 함정, 잠수함 건조를 담당하는 HII와 UTC사가 COVID-19 확산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방산문제 전문가들은 COVID-19 팬더믹의 방산업체 영향이 우선 기존 작업장 환경 개선, 노조와의 개인검역 조치에 대한 책임 소재, 공장이 소재한 해외 국가와 북미 연방정부가 요구하는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한 규정 준수 등의 복잡한 문제들이 있어 COVID-19 확산이전에 설정한 작업진도가 순조롭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낮다면서 납품 기일 미준수에 따른 벌금(penality) 문제 등의 제도적 이슈도 큰 영향이라고 평가하였다.

궁극적으로 군사문제 전문가들은 COVID-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군사력 운용 개념이 변화하는 사운데 이미 계약된 각종 전력들이 제대로 납기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 전력화 일정, 인원 확보, 부대 창설 등의 분야로 영향이 파급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