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면 파킨슨병이 유발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10일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전했다.

기초과학연구원에 따르면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 그룹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별세포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면 파킨슨병이 유발됨을 규명했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하여 파킨슨병이 유발된다는 기존 이론과는 달리 도파민 신경세포가 살아있는 상태에서도 파킨슨병이 유발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파킨슨병은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병이다.

우리 뇌 속에는 운동에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있다. 기존에는 도파민 생성 기능을 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하면 파킨슨병에 걸린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연구로 반응성 별세포에서 분비된 과도한 ‘가바(GABA)’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하여 파킨슨병을 유발함을 규명했다.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살아있는 상태임에도 파킨슨병이 발병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도파민은 운동에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도파민 신경세포가 도파민 생성 기능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긴다. (이미지=기초과학연구원)

별세포(Astrocyte)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주변 신경세포에 여러 영향을 미치면 이를 ‘반응성 별세포’라고 한다. 반응성 별세포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과도하게 분비하는데, 도파민 신경세포가 가바(GABA)에 의해 억제되어 도파민 생성 기능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잠들었다’고 표현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중뇌 흑질은 정상인에 비해 별세포가 반응성을 띠고 있고, 신경세포의 기능이 멈춰있다. (이미지=기초과학연구원)

연구팀은 도파민 부족으로 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긴 파킨슨병 쥐를 준비한 후, 마오비(MAO-B) 억제제를 투약했다. 마오비(MAO-B)는 가바(GABA) 생성의 핵심 효소로, 마오비 억제제는 반응성 별세포의 과도한 가바(GABA) 생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가바(GABA) 양을 줄이니 도파민 신경세포가 잠들지 않아 도파민 생성이 원활해졌고 파킨슨병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했다.

파킨슨병 초기에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도파민 생성 기능을 멈춘 상태이지만 아직 사멸하지 않고 살아있다. 이 때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재우는 가바(GABA)를 조절하면 파킨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창준 단장은 “별세포에서 분비되는 가바(GABA) 연구로 기존 정설을 뒤집어 파킨슨병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며 “향후 파킨슨병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 연구가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1월 10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