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블록 체인은 수입 및 원산지 보호 등의 세관 업무에 유용하다는 평가다. (사진=픽사베이)

[더리포트]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통관 업무를 위한 블록체인 활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일 코트라는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국(S&T)이 관세국경보호청(CBP)의 요청에 따라 가장 먼저 관세국경보호청의 업무에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적용했다고 전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의 주요 업무는 수입·수출 공급망 관리, 국제조약인증의 확인, 통관을 위한 화물의 허가 및 이동 등이다.

코트라에 따르면 세관에서 감독 및 규정 준수를 위해 공급망 전체에서 상품, 구성품 그리고 원산지를 추적 및 검증하는 일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절차다. 

그런데 블록체인은 브로커, 수입업자, 정부 등 수출입 과정의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수입 제품과 관련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급망에 보안이 유지되는 투명성을 보안하면 모든 관계자가 각 제품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추적하고 확인할 수 있다.

앞서 미국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는 원자재 수입 과정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하기 위한 개념검증(POP, proof-of-concept) 작업을 위해 11월 텍사스 오스틴의 블록체인 기술 기업 팩톰(Factom, Inc.)과 19만 7292달러 규모의 계약 체결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의 원자재 등 수입과 관련, ID를 생성 및 확인하고 사기를 감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보안 시스템 개발이 목적이다.

팩톰의 1단계 프로젝트는 "인증 및 라이선스 위조 및 복제 방지를 위한 크로스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다. 발급된 자격 증명의 출처를 보장하는 공개 시스템을 통해 원자재 수입 추적과 관련된 인증서 및 라이선스를 관리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일이 그것이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2018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및 중미자유무역협정(CAFTA-DR)에 따라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의 원산지 증명을 위한 블록체인 사용을 이미 테스트했으며, 올해 11월 지식재산권에 초점을 맞춘 두 번째 테스트를 완료했다.

미국 국토안보부 과학기술국(S&T)의 실리콘밸리 혁신 프로그램(Silicon Valley Innovation Program, SVIP) 아닐 존(Anil John) 기술이사(Technical Director)는 블록체인 기술과 관세국경보호청의 필요성은 매우 잘 맞으며, 관세국경보호청에 시범 적용 과정을 통해 배운 교훈은 다른 기관에도 적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국경보호청의 블록체인 기술 사용의 성공을 바탕으로 국토안보부 산하 다른 기관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국 이민서비스국(USCIS)과 교통안전국(TSA)  역시 관련 업무에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임소현 미국 뉴욕무역관은 “미국 국토안보부가 업무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시간과 비용 절감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에 앞장서고 있으므로 향후 여행 및 통관 절차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개발단계로 실제 적용되기까지 수 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문가의 말을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