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온 '남한의 고분벽화'. (사진=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더리포트] 남한의 10개 고분 벽화와 연구 자료를 모은 <남한의 고분벽화>단행본이 나왔다.

이 벽화들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반 대중들도 고분 벽화의 가치와 역사를 쉽게 이해하도록 책으로 엮었다.

고구려 벽화고분은 북한과 중국 집안(集安)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발견됐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새로운 벽화고분의 발굴 소식이 계속해서 전해지고 있지만,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벽화고분의 수는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편이다.

현재 한강 이남의 벽화고분 중 그림이 뚜렷이 남아있는 고분은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 제313호)을 비롯해 10기 가량이다.

이 고분들은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대부분 사적으로 지정되어 관리 중이나, 발굴 조사 보고서 이후에 후속 연구서의 발간이 거의 없었을 뿐 아니라 벽화의 보존을 위해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까닭에 일반에게 알려질 기회가 없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금까지 발굴된 남한 소재 벽화 고분들의 사진과 도면 등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벽화를 그림으로 그려낸 자료를 새롭게 추가했다.

책에 수록된 고분은 △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 제313호), △ 영주 순흥 어숙묘(사적 제238호), △공주 송산리 고분군-6호분(사적 제13호),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사적 제165호), △ 부여 능산리 고분군-동하총(사적 제14호), △ 안동 서삼리 벽화 고분(비지정), △ 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사적 제239호), △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권준묘(파주시 향토유적 제16호), △ 밀양 박익 벽화묘(사적 제459호), △ 원주 동화리 노회신 벽화묘(비지정) 등 총 10기이다.

책에는 당시 생활풍속과 사신, 십이지신, 별자리, 인물 그림 등, 벽화들의 사진이 그림과 함께 자세히 담겼다. 이외에도 백제, 신라, 가야 고분 벽화들의 특징과 이후 전개되는 고려, 조선초기의 변화상을 미술사적 시각에서 살펴본 글들과 고고학자의 발굴 현장 이야기, 벽화 훼손 방지를 위한 보존 처리 노력 등 다채로운 내용들도 함께 실렸다.

필진으로는 전호태(울산대), 이태호(명지대), 한정희(홍익대) 교수와 최맹식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직원들이 참가했다.

이번에 발간한 <남한의 고분벽화>는 국공립 도서관과 국내외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국민이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원문정보통합서비스)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