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 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돌봄 로봇관련 특허가 꾸준히 늘고 있다. 동시에 가정에서 쓰기 위한 로봇 관련 특허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돌봄 로봇 분야의 특허 출원은 2010~2012년에는 연평균 37건에 불과했으나, 013~2015년에는 연평균 50여건, 최근 3년간은 연평균 72여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과 접목한 관련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으로, 향후에도 해당 분야 출원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 사회 발맞춰 돌봄 로봇 특허 늘어

2010년부터 최근 9년간 출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대학‧연구소(38%), 중소‧중견기업(27%), 외국기업(17%), 개인(9%), 대기업(9%) 순으로,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빠른 고령화 속도에 비해 돌봄 로봇 시장이 아직 초기단계이고, 연구기관과 스타트업(start-up) 중심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2010년부터 최근 9년간 출원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식사‧이승 보조와 같은 일상생활 지원(40%), 혈당‧혈압 관리와 같은 건강 관리(27%), 재활 지원(10%) 순이다.

이 돌봄로봇 중 하나는 ‘기립 보행 보조 로봇(Robot for assisting user to stand up and walk)’(특허 제 10-2018-0037932호) 이다. 타인의 도움 없이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게 한 뒤 보행 운동을 하도록 보조한다.

‘노년층을 위한 교감 로봇시스템‘(특허 제 10-2018-0060567호)도 있다. 

센서를 사용자의 몸 특정 부위에 연결한 뒤 머리 쓰다듬기, 등 토닥거리기, 하이파이브 하기 같은 동작을 할 수 있게 했다. 로봇을 따라 하기 게임을 통해 치매예방 효과도 있다.

돌봄 로봇의 보급과 확산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정부는 최근 돌봄 로봇을 4대 유망 서비스 로봇 분야(돌봄,의료,물류,착용형) 중 하나로 선정하여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돌봄 로봇 보급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이나 반려동물 돌보기 로봇 등 다양

가정에서 아이와 반려동물의 도우미 역할을 하는 로봇 아이디어도 진화하고 있다.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등록 제1011969730000호)은 로봇이 이동하면서 센서를 통해 영유아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해당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호자가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려동물 관련해서는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특허 10-1721386)이 눈길을 끈다. 애완동물을 키울 때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는 가족이 외출할 경우 발생하는 급식문제다. 그러나 지금까지 나온 발명은 정해진 시간에 먹이를 공급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애완동물의 영상신호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애완동물을 위한 로봇 케어 시스템' 특허 도면. (그래픽 제공-특허청)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은 센서 정보 또는 및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위치를 탐색한 뒤 일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물 추적 기능이 갖춰져 있다. 또한 동물 행동을 인식한후 급식모듈을 제어하여 사료를 원활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급식 기능이 있다. 아울러 자동 급식 기능과 더불어 반려동물이 사료를 섭취하고 있는 모습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그 모습을 촬영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해 준다. 

또한 집 주인을 기다리며 하염없이 문만 쳐다보고 있는 반려동물을 위해 오락기능을 제공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놀이 로봇'(특허 10-2017-0100205)도 최근에 나왔다.

특허청 전일용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돌봄 로봇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반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비지니스 모델과 제품을 연계하여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지식재산권의 조기 확보를 통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