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 빅데이터 분석이 사회문제 해결에 좀 더 진일보하고 있다. 아울러 보다 더 정확하고 신속한 해답을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이 ‘빅 인디케이터(Big indicators)’로 발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는 26일 정례 이슈브리프를 통해 가장 최근의 빅데이터 활용 흐름을 전했다.

KISTI는 ‘빅데이터 분석, 사회문제 해결의 길을 열다’ 편을 통해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은 국가정책 수립 근거 마련에 빅데이터 분석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덴마크 무인자동차 정책이다.

덴마크는 시민들이 무인자동차 도입에 부정적이었다. 표면적인 이유는 운전 불안감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트위터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노동시장 불안정에 따른 일자리 상실 등으로 밝혀졌다. 이는 정부의 무인 자동차 도입에 관한 노동 정책 검토로 이어졌다.

이번 이슈브리프 집필진 중 한 명인 KISTI 정도범 정책연구실 박사는 지난해 12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18 IEEE 빅데이터 국제 컨퍼런스’에서 본 내용을 전했다.

그에 따르면 빅데이터 관련 논문이 500개 넘게 제출되었으며, 이 중 200개 논문이 최종 선정되어 컨퍼런스 기간 동안 발표되었다. 그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고 한다.

정 박사는 “모든 발표는 사회 및 산업과 관련된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에 대한 실무적 접근으로 진행되었다”며 “뉴스, 소셜 미디어, 미미지, 음성, 동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 분석과 실무적 활용법이 심층적으로 논의되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빅데이터가 그리 중요할까.

이에 대해 KISTI 문희진 정책연구실 박사는 “빅데이터 분석은 한정된 표본에 기반을 두지 않기에 사회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발굴할 수 있어 사회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답했다.

전화나 대면 등의 기존 조사는 편향된 답변이 나올 수 있으며, 따라서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한 빅데이터는 사람들의 집약된 객관적인 생각을 뽑을 수 있다.

이슈브리프는 “다만 빅데이터의 가공과 분석이 더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주원균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장은 “사회 문제 해결에서 빅데이터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빅 인디케이터(Big indicators)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회문제는 복잡하고 끊임없이 변화해 빅데이터 분석으로는 문제의 심도 있는 이해와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만큼 지표를 통해 장기적 추적이 가능토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선진국, 신흥 국가, 개발도상국의 부정부패 지표와 스캔들 발생시기.

실제로, 국제통화기금은 국가 부정부패 해결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부정부패지표를 개발했다. 전 세계 부정부패에 대한 신문기사 6억7000만 개를 분석한 이 지표는 기존 지표의 한계인 부정확함을 보완하는 동시에 시간 불변성을 갖지 않아 장기간 추적이 가능하다.

아울러, 주 단장은 자료, 지식, 경험 등 공유를 바탕으로 한 빅데이터 기반의 생태계 조성 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