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에 위협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투명창. 조류 충돌을 막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환경부 제공]
조류에 위협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투명창. 조류 충돌을 막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환경부 제공]

[더 리포트]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인간이 만든 구조물에 충돌해서 죽는 사고, 소위 ‘조류 충돌’과 관련 대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그 내용이 매우 협소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두 기관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1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전국의 건물 유리창과 투명방음벽 등 총 56곳에서 조류충돌로 총 378마리의 새가 폐사했다.

가장 많이 죽은 새는 멧비둘기로 총 85마리였다. 이어 직박구리 43마리, 참새 40마리, 박새 19마리 순이었다. 멸종위기종인 참매, 긴꼬리딱새도 1마리씩 희생되었다.

환경부가 이를 토대로 국토 전체의 피해량을 추정한 결과, 투명창에 충돌해 폐사하는 새는 연간 800만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하루 평균치로 계산하면 매일 2만 마리 꼴이다.

이 중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연간 765만 마리, 투명방음벽은 23만 마리로 추정됐다. 대부분 투명 창 때문이다. 건축물의 유리 외벽과 투명방음벽, 유리로 된 버스정류장 등의 증가가 원인이다.

새들은 눈이 머리 옆에 있어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의 거리를 분석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여기에 유리의 투명성과 반사성이 더해지면서 새들이 투명창을 개방된 공간으로 인식해 충돌한다.

이에 따라 투명창에 조류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 간격의 무늬 프레임이 대안으로 부상했다.

대부분의 조류는 수직 간격 5㎝, 수평 간격 10㎝ 미만의 공간을 통과하려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면적 이내로 무늬를 그리면 조류 충돌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준희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창문에 블라인드나 발을 내리는 것으로도 조류가 창문에 부딪히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아이들과 함께 창문에 아크릴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점을 찍는 것도 조류충돌을 막는 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환경부는 이미 설치된 투명방음벽과 건물 유리창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해 조류 충돌 방지 테이프를 부착하는 시범사업을 다음 달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사실 인공적인 건물과 충돌로 새가 희생되는 문제는 전세계적인 이슈다.

한국농촌건축학회가 발행한 논문집(2013년 2월)에 실린 논문 <조류 유리충돌 방지를 위한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에 따르면 매년 1억~10억 마리의 새가 창문과 충돌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논문은 “건축가와 건축가가 설계 요소를 창의적으로 사용하여 새 구조물과 기존 구조물에서 새가 충돌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 할 수 있다”며 방법을 제시했다. 바로 패턴이 포함 된 유리, 불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데칼, 점 패턴, 차양, 루버 및 그릴 사용이다.

특히 조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설계자, 건축업자 그리고 시민의 문제 인식이다.

이에 대해 김진태 전 보건환경연구원 원장(환경운동가)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건물을 지을 때 조류 친화적인 설계를 하는 것"이라며 "생명에 대한 일반 시민의 작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