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해 12월 24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열린 '우수기업 및 광주일자리 인증기업 인증서 수여식'에 참석해 인증서 수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News1
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해 12월 24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열린 '우수기업 및 광주일자리 인증기업 인증서 수여식'에 참석해 인증서 수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News1

[더 리포트]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의 사회적 협약에 기초하여, 생산방식을 혁신하고 노사파트너십 및 기업 간 상생질서를 구축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고용을 확대하며, 사회적 통합을 달성하려는 새로운 지역혁신운동이다.

광주형 일자리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기업 내에 광주형 일자리 실행을 확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광주전남연구원(원장 박성수)은 6일 <광전 리더스 Info> ‘광주형 일자리 확산 전략(지역기업을 중심으로)’을 발표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광주형 일자리의 4대 의제(적정임금, 적정노동시간, 노사책임경영, 원․하청관계개선)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활동의 정도가 지역 기업별로 차이가 있으며, 의제별 구성항목은 광주형 일자리에 미흡한 부문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형 일자리 확산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전략으론 첫째, 광주형 일자리 의제별 지역기업내 실행과 확산이다.

적정임금의 경우 노사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평화적인 적정임금 도입, 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상생협력기금 조성, 적정노동시간의 경우 근로조건 개선 및 유연근무 활성화, 중소 사업장에서의 실 노동시간 단축의 제도적 안착, 노사책임경영의 경우 다각적인 노사협의 소통채널 개발, 노사공동선언 추진, 노사 공동교육, 원․하청관계 개선의 경우 성과공유제, 협력이익배분제를 통한 상생협력 등이다.

또한 지역기업 대상 광주형 일자리 인증제 추진과 확산이 있어야 한다. 4대 의제별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 항목에 합당한 기업을 인증 기업으로 선정하고 지원하는 방법이다.

이어 지역내 광주형 일자리 확산 거버넌스 구축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소통, 지역 주체들의 자발성과 파트너십에 기반을 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광주형 일자리 선순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노사, 대중소기업, 원하청기업들이 광주형 일자리 협의모델을 만들어가고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체계의 구축이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