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포트] 우리나라의 출산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배우자가 있는 15~49세 여성의 84.8%가 향후 출산 계획이 없으며, 35세가 넘어가면 출산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자녀 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를 탰다.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담은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들은 대부분 35세 이전에 출산을 마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 향후 출산 계획이 없는 유배우 여성 비율은 25세 미만 45.8%, 25~29세 46.3%, 30~34세 55.9% 등이었다. 30대 초반까진 50% 안팎을 보이다가 35~39세 때 82.3%로 26%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이후 40~44세 94.4%, 45~49세 98.7%까지 올라간다.

출산 계획도 비슷했다. 25세 미만에서 44.2%로 가장 높았다가 30~34세 때 30.2%까지 서서히 낮아진 뒤 35~39세가 되면 3분의 1 수준인 11.9%까지 급감했다. 40세 이후부턴 3.4%와 0.7% 등이었다.

이와 관련 보건사회연구원 이소영 연구위원은 "만혼화 현상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자녀 출산 계획을 세우고 있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라며 ”이는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왜 출산계획을 포기할까. 여성들은 출산 중단 이유로 '자녀 수가 충분하다'는 것과 함께 '본인의 고연령'을 많이 꼽았다(각 20.1%). 다음으로는 '자녀 교육비 부담'(16.8%), '자녀 양육비 부담'(14.2%), '소득·고용불안정'(7.9%), '일·가정양립 곤란'(6.9%) 등을 들었다.

더 흥미로운 질문은 '인생 목표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적정 자녀수'였다. 15~49세 기혼 여성 1만1207명(무응답 제외)에게 질문한 결과,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는 것'이란 문항엔 가장 많은 37.5%가 필요한 자녀수를 '0명'으로 답했다. 같은 문항에 1명이라고 한 응답자 비율이 32.8%로 가장 많았다.

또한 자녀들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면 절반이 넘는 56.5%가 1명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