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포트] 미국과 중국의 경제를 심도있게 다룬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성장률(2.9%)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수준까지 높아졌으며 중국의 경제는 2015년 이후지 6%대 중후반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BNK금융그룹(회장 김지완)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이런 내용을 다룬 ‘G2경제 진단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30일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6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114개월 연속 경기확장세를 이어가며 역사상 최장기록(120개월)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2경제의 성장엔 장애가 있다. 미국의 경우 재정정책 효과 등이 약화되면서 금년은 2%대 중반, 내년에는 2%를 하회하는 수준까지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의 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올해와 내년에는 6%초반 정도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침체의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장단기 국채금리차(10년물과 2년물 기준)가 축소되면서 일부에서 미국경제의 리세션(recession, 경기침체기)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1980년 이후 미국은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5번 모두 4~6분기 시차를 두고 리세션에 진입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동산시장 둔화와 기업건전성 악화가 리세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중국도 대내외 리스크가 크게 부각될 경우 경착륙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상존한다고 언급하였다. 대외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지적하고 있으며 구조적 요인으로는 부동산침체 가능성, 기업 및 가계부채 문제를 꼽았다.

하지만 미국경제 리세션 및 중국경제 경착륙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미국경제의 경우 양호한 소비심리 및 고용여건 등을 감안할 때 경제 펀더멘털이 급격히 붕괴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중국도 적극적 재정정책 및 완화적 통화정책 등의 부양책을 통해 경기둔화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경착륙 우려는 과도하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G2경제의 급격한 침체가능성은 낮지만 경기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동남권의 산업구조 재편 및 경제체질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G2에 대한 수출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남권의 對G2 수출비중은 2018년 28.7%까지 높아진 상황이다. 따라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아세안 등 신남방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가속화해야 한다.

특히 중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G2의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마련도 필요하다. 신성장 동력 발굴 및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에 기업과 지자체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백충기 연구위원은 “동남권의 G2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 및 수출품목 집중현상에 대한 우려는 오랜기간 지속되어 왔으나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면서 “G2경제의 불확실성과 미래산업 성장에 따른 급속한 구조변화 등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는데 더 많은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