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리포트] 서울시가 2012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홈셰어 정책이 긍정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보완해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셰어는 고령자의 홈(Home)내 여분의 공간을 대학(원)생에게 제공함으로써 윈윈 전략을 노린 제도다. 대학생에게는 주거문제를 해결해주고, 고령자에게는 고립과 고독감을 완화시키는 형식이다. 

논문 '세대교류형 홈셰어 운영 개선방안 연구'(이미숙, 숭실대학교, 2019)는 홈셰어 생활에서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논문은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복지모델로서 세대 교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홈셰어 운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할 목적으로 썼다.

이를 위해 홈셰어의 오랜 경험을 가진 해외 선진사례와 국내 홈셰어를 비교했다. 또한 국내 홈셰어 참여자를 통한 사후 평가를 실시해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홈셰어는 지역적인 한계와 임대료 갈등을 안고 있다. 홈을 찾는자는 저렴한 임대료를 요구하지만 고령자로서 생활 자금이 필요한 홈 제공자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대학가를 제외한 주변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임대료 또한 상호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운영 주체의 문제도 있다.

국내 홈셰어는 행정이 주관하고 운영하는 정부 주도형이다. 이는 신뢰도와 예산 확보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문제 발생시 신속한 대처와 해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해외에서는 NPO 등의 민간단체가 홈셰어를 주관,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적이고 탄력적이다. 

이에 따라 논문은 한국형 홈셰어 운영구조는 '정부지원+민간주도형'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평가했다.

논문은 "홈셰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홍보, 모집, 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홍보-개발중심 파트너십과 예비 참여자의 접근성이 높은 세대중심 파트너십을 결합한 세대+홍보-개발중심 파트너십으로의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