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김태우기자] 국내 무역업계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전환의 가장 큰 걸림돌은 ‘기술·정보부족’과 ‘전문인력 부재’였다.

8일 한국무역협회(회장 구자열)가 지난 3월 국내 무역업계 831개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현황’에 대해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49.5%가 ‘현재 자사의 디지털 전환 속도가 더디다’고 평가했다. 

반면 ‘디지털 전환이 향후 경쟁력 강화에 유리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8.4%에 달해 기업 현장에서 디지털 전환에 거는 기대와 현실의 간극이 컸다.

디지털 전환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기업들은 ‘제품 및 서비스 품질향상’(75.5%), ‘신규 시장 개척’(74.8%), ‘업무 효율화’(73.8%), ‘실시간 정보 공유’(67.5%), ‘생산성 향상’(66.3%) 등 분야에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업계는 여전히 디지털 전환 속도가 더뎌, 전문가의 진단과 조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무역업계는 여전히 디지털 전환 속도가 더뎌, 전문가의 진단과 조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관련 기술 및 정보 부족’(52.5%)을 꼽았다. 의료기기를 제조·수출하는 A사는 “자금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어느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면서 “디지털 전환 추진 단계별 전문가의 진단과 조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인력 확보 어려움’(47.6%)과 ‘직원들의 디지털 전환 이해도 및 활용 역량 부족’(36.7%)을 호소하는 기업들도 많았다. 식품 제조가공업체 B사는 “대부분의 청년 인력지원 사업 기간이 3~9개월 정도로 짧아 근로자의 근무경험이 충분히 성숙하기엔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일부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뒤처져 자사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 

화장품을 수출하는 C사는 “협업 툴, 화상 미팅 솔루션 등은 중소기업에서도 쉽게 도입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빅데이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은 자본력에 우위가 있는 대기업이 선점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기계부속품 제조기업 D사는 “인력 채용 여력이 있는 대기업은 전문인력을 충원해 비교적 빠르게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겠지만, 중소기업은 제한된 인력으로 본업에 충실하기도 빠듯하다”고 전했다.

무역협회 장석민 디지털혁신본부장은 “이번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협회는 개별 기업의 디지털 전환 진척 수준과 수요에 맞는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라면서 “또한 디지털 전환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디지털 서비스 공급기업과의 협업 기회를 제공하는 등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