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조아람기자] "1897년 1월, 10여 명의 영국인 사절단이 서아프리카 베닌 왕국을 방문하던 중 원주민의 습격으로 사절단의 상당수가 살해당하는 ‘베닌 학살’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을 빌미로 영국은 1897년 2월부터 약 3주간 이른바 ‘베닌 원정’이라 불리는 ‘응징 작전’을 통해 수천에 달하는 대량학살과 마을 파괴, 그리고 심대한 문화적 약탈을 자행한다."

신간 <대약탈박물관>은 이 폭력적인 약탈에 관한 책이다. 구체적으론 ‘베닌 브론즈’라 불리는 청동 문화재의 대량반출과 그 이후 전 세계로 흩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쫓은 '보고서'다.

‘베닌 브론즈’는 나이지리아 베닌시티 일대를 통치했던 오바(왕)들의 역사를 기록한 수천 점의 청동 장식판과 세공 상아 작품을 통칭하여 말한다. 그것들은 빅토리아 여왕의, 영국박물관의, 그리고 수많은 개인 수집가들의 소장품이 되었다.

저자는 옥스퍼드대학 피트 리버스 박물관의 큐레이터다. 그가 이 책을 쓴 이유는 제국주의 시대 영국의 식민지적 폭력과 약탈 문화재 전시 문제의 고발이다.

책에 따르면 베닌시티 원정에서 영국군이 약탈한 왕실 예술품과 종교적 성물들은 전 세계의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현재 베닌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박물관과 미술관의 수는 150곳 이상이다. 

저저는 폭력으로 강탈한 약탈물을 전시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야만적이라고 역설한다.

"식민지 폭력의 전리품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을 그저 중립적인 유물의 보관소로 보아야 할까? 박물관은 그저 아프리카의 예술품과 유럽의 조각, 회화를 나란히 전시함으로써 아프리카의 창의성을 보여주고 매년 박물관을 찾는 수백만의 관람객에게 세계문화유산을 보여주는 관리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까?"

저자는 식민지에서 학살을 통해 약탈한 왕실 유물과 성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에 대해 이렇게 규정한다. 

첫째, '인종과학’의 이름으로 서구 문명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폭력적인 장소다. 둘째, 전쟁기념관처럼 유럽과 북미 곳곳에 자리 잡은 채 남반구의 후진성을 강조하는 장치다. 샛째, 극단적 폭력과 문화적 파괴의 연장에 공모하는 장소, 대규모 학살과 문화재 파괴, 그리고 지속적인 비하의 상징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베닌 브론즈의 즉각적인 반환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는 식민지 시대 부채 청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은은한 조명을 받으며 진열장에 전시된 희귀한 세계적 문화재. 그것은 말한다. 그 불빛 뒤의 어두운 그림자를 주목하라고.

댄 힉스/ 정영은/ 책과함께/ 2022년
댄 힉스/ 정영은/ 책과함께/ 2022년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