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김태우기자] 국내 연구진이 소형 기지국에서 LTE 도움 없이도 5G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사용자에게 대용량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5G 특화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많이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5일 5G SA 스몰셀(Small Cell)’ SW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건물 내부, 인구 밀집 지역, 음영 지역 등에서 5G 기술만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5G 서비스는 4G망과 5G망을 같이 쓰는 비단독모드(NSA)와 5G망만을 쓰는 단독모드(SA)로 구분된다. 기술 개발 속도와 국가·통신사업자별 투자 계획 사정을 반영하여 5G 표준이 나뉘어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5G 상용화 이후 그간 비단독모드로 서비스가 이뤄졌으나 최근 단독모드 서비스도 시작되고 있다. 

이에 매크로 기지국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전송 용량과 서비스 영역을 저렴한 비용으로 늘릴 수 있는 스몰셀을 단독모드로 구현할 기술이 필요했다.

5G SA 스몰셀 기지국 SW 기술 확보로 다양한 5G 스몰셀 제품을 국산화할 원천기술 확보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5G SA 스몰셀 기지국 SW 기술 확보로 다양한 5G 스몰셀 제품을 국산화할 원천기술 확보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ETRI는 5G 단독모드 스몰셀을 위한 통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퀄컴(Qualcomm Technologies Inc.)의 FSM100 5G RAN 플랫폼(Qualcomm® FSM100 5G RAN Platform)에 올려서 5G 스몰셀 단독모드 기지국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시제품과 단독모드 기능을 탑재한 상용 단말 스마트폰 간 통신을 하면서 기능을 검증했다. 

연구진은 AR글래스를 이용한 교육 서비스, 재난안전문자, VoNR 등을 시연하였다. 

5G를 이용해 대용량 콘텐츠를 주고받고 LTE 기반 기술보다 정교하게 위치, 방향을 구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선보인 것이다.

ETRI가 개발한 스몰셀 SW는 5G에 할당된 주파수 중 3.5GHz 중대역을 사용하며 현재 개발된 최신 기지국용 칩셋과 주어진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를 이뤘다. 

실제로 시연에서는 5G 상용 단말 32대를 동시에 접속하면서 이론상 낼 수 있는 최대 성능을 선보였다. 

연구진은 수년간 기가급 고속 데이터 처리,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지원하는 5G 스몰셀 스케줄링 기술, 빔 관리 알고리즘 등 관련 노하우를 축적하면서 이번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