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리포트=이진수기자] <논문읽기> 조선시대 <감로도(甘露圖)>는 중생들에게 이슬(감로)과 같은 법문을 베풀어 해탈시키는 의식의 모습을 그린 불화다. 이 <감로도>는 억울하게 죽은 모든 영혼이 부처의 가르침을 깨달아 다음 생에서는 좋은 모습으로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목적에 의해서 많이 제작되었다.

이 감로도가 일본에 전래되어 <쿠마노관심십계도(熊野觀心十界圖)>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쿠마노관심십계도(熊野觀心十界圖)'의 도상과 연원에 관한 검토>(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 34권0호)는 두 그림의 관계를 흥미롭게 분석했다. 

두 그림은 화면 중앙에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펼쳐진 의식장면과 화면 하단부에 수많은 도상들이 삽입되어 있는 구성이 비슷하다. 

일본 '쿠마노관심십계도(위)와 조선의 '감로도'. (출처 enseji.or.jp. 네이버지식백과)

논문에 따르면 중세-근대 일본에서는 포교활동의 한 형태로 불화를 휴대하고 전국을 누비며 민중들을 대상으로 그림 속에 표현된 도상을 해석해주는 에도키(繪解き)가 유행하였다. 

이 불화들은 특정 종파를 위한 선전이나 불교를 민중들에게 쉽게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시각자료였다. 이 논문의 주제인 <熊野觀心十界圖>도 이러한 회해(繪解)에 사용되었던 그림 중 하나이다. 

논문은 <쿠마노관심십계도>가 쿠마노비구니(熊野比丘尼)라 불리던 일종의 법사(法師)집단이 사용하던 그림으로, 주로 여성의 죄업을 설하며 여성들을 교화하는 것에 주력했던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도상들이 그림 속에 담겨있다고 전한다.

즉 이 그림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일본 내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도상들을 중생 교화의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 제작한 불화의 한 형태라는 것이다. 

이어 논문은 이 그림에서는 십계 중에서도 지옥의 도상들을 그림의 절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데, 그 안에서 이 그림이 제작되던 당시의 시대상을 읽을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논문은 <쿠마노관심십계도>에는 일본에 유입된 조선의 <감로도> 중 화면 중앙의 의식 도상이 차용되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시아귀의식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구제를 상징하고 염원했던 <감로도>의 의식 장면은 일본인들에게 익숙한 목련구모(目連救母)설화로 변환되어 선조에 대한 공양의 중요성 또는 보은(報恩)을 강조한 도상으로 탈바꿈하여 수용되었다는 것이다.

결론으로 논문은 이 <쿠마노관심십계도>는 "한장의 그림 안에 불교에서 말하는 우주의 구조와 인간의 일생, 그리고 제작 당시에 새롭게 형성된 가치관에 따른 다양한 사후 세계의 모습과 추선공양의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불화"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더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